배경과 정세      전남대학교 여수학연구원 입니다.
배경과 정세
 전남대학교 여수학연구원 입니다.
배경과 정세      전남대학교 여수학연구원 입니다.
  HOME   >   여수학아카이브   >   여수·순천10·19사건   >   배경과 정세
  여수학아카이브   >   여수·순천10·19사건   >   배경과 정세
  여수학아카이브   >   여수·순천10·19사건   >   배경과 정세

한국전쟁 전 대표적인 학살극 중 하나였던 여순사건 집단학살은 봉기군과 좌익, 빨치산의 무장투쟁에 대한 정부의 토벌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토벌과 집단학살은 한국전쟁 시기까지 이어졌으며, 100만 민간인에 대한 집단학살의 서곡이 되었다.

여순사건 희생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다만 전라남도 보건후생부의 1949년 11월, 이재민 구호자료에는 당시 11,131명이 희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여수지역사회연구소가 피해실태조사를 통한 파악한 통계 추정치인 10,000여 명과 비슷한 수이다.

여순사건은 기존의 정치 사회적 지형을 변화·강화하면서 남한 사회의 기본 질서가 잡히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여순사건의 진실은 이승만과 군사독재 정부의 고의적인 축소와 은폐로 왜곡되어 왔다. 당시 신문은 사실확인 없는 보도를 양산했고, 이후 관련 기록들은 한쪽의 일방적인 시각 아래에서 서술되었다.

 

 

  여수와 전남 동부지역의 정세

 

한국전쟁 연구의 세계적인 석학인 미국의 브루스 커밍스에 의하면, 전남 동부지역은 해방 초기부터 사회경제적인 조건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우익세력보다 좌익세력의 힘이 약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좌익에 대한 미군의 탄압 정도도 미미하여 좌우익 간의 공존 관계가 1948년 초까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남한만의 단독선거인 5.10 제헌 선거에 반대하는 남로당 중심의 단독선거 단독정부(단선·단정) 반대 투쟁으로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었다. 전남 동부지역에서도 구국투쟁 과정의 구례, 순천을 포함한 4개 군에서 5.10선거 저지 투쟁이 발생하기 시작했는데, 구례지역의 경찰지서 및 우익 습격 사건, 순천지역의 시위군중과 우익 학생과의 충돌 사건, 광양과 여수에서는 경찰지서와 투표소 습격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런가 하면 해방이 되어 해외에서 돌아온 여수지역 귀환 동포들의 급작스러운 증가와 미군정의 미곡수집령으로 인해 군정 당국에 대한 원성이 높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1948년 5월 초에 광주의 4연대 1개 대대를 기간으로 하는 14연대가 여수에 창설되었다는 사실이다.

 

 

  경제적 상황

 

해방 이후 당시 사회의 경제는 구조적인 위기가 지속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은 1948년 중반에 이르러 절정에 달한다. 한국의 경제체제는 일제의 경제에 종속되어 자체 생산적인 경제 질서를 갖지 못한 채, 해방 후 일본 본토와 만주공업지대로부터의 연관된 분업이 단절되었고, 일제 기술자의 본국 귀환, 통화 남발 등으로 그 기능이 거의 마비되어 갔다. 게다가 소비재 중심의 경공업은 남한에, 생산재 중심의 중공업은 북한을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던 상황에서 남북 분단이 굳어지고 좌우익의 치열한 정치투쟁 속에서 경제적 파탄은 더욱더 가속화되었다.

당시 일반 시민들의 생활고는 매우 힘들었는데 1945년 8월부터 1948년 1월까지 약 2년 5개월 동안, 서울의 생필품 가격은 평균 25.2배(도매물가 상승률은 73.2배)로 급등하였다. 도시의 실업도 심각한 상황이었지만 농촌의 현실도 암울하였다. 당시 미군정은 1946년 10월부터 미곡수집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였는데, 소작농의 소작료 미곡을 전량 공출하게끔 규정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소작농이나 빈농에게 매우 불리한 조항이었다. 또한, 미곡수집이 강제적으로 시행되는 과정에서 경찰과 관리에 의한 부정부패까지 극심하였다.

1948년의 미곡수집은 미군정이 500만 석을 수집하였는데, 전체 총생산량의 36%에 달하는 양이었다. 문제는 수집 가격은 한 가마니당 660원 정도였는데 당시 시장가격은 6,000원이 넘었다고 하니 이를 고려하면 불과 1/10 정도의 가격을 받고 미군정에 쌀을 팔아야 했다. 이로 인해 굶주린 군중이 식량창고를 습격하여 수집미를 탈취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하기도 했다. 설상가상으로 전남지방은 6월부터 7월 말까지 계속되는 장마와 태풍으로 극심한 피해를 입어 농민들의 민생고는 그야말로 극한으로 치닫고 있었다.

 

 

 

배너존
배너존
배너존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통합관리자 접속
(59626) 전라남도 여수시 대학로 50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교양관 504호            ☎ 061-659-6236
inyeosu2022@jnu.ac.kr
Copyright©2023 전남대학교 여수학연구원. All right reserved.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통합관리자 접속
(59626) 전라남도 여수시 대학로 50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교양관 504호
☎ 061-659-6236
inyeosu2022@jnu.ac.kr
Copyright©2023 전남대학교 여수학연구원.
All right reserved.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통합관리자 접속
(59626) 전라남도 여수시 대학로 50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교양관 504호
☎ 061-659-6236     /     inyeosu2022@jnu.ac.kr
Copyright©2023 전남대학교 여수학연구원. All right reserved.